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주식43

채권에 대하여 채권이란? 채권은 중앙 정부, 지방 정부, 공기업, 금융기관, 법인 회사들이 정책이나 사업을 시행하기 위한 자산을 조성하기 위해 돈을 빌려서 정해진 기한 후 돌려주겠다는 채무증서를 증권화한 것이다. 쉽게 말해 사고파는 빚문서라 할 수 있는데 일반적인 대출과 달리 자금을 공급받는 기관들이 기업이나 국가같이 일반적인 사람 간 거래보다 신용도가 높다는 것에 착안하여 빚문서를 거래 가능한 유가증권 형태로 만들어 불특정 다수로부터 돈을 빌릴 수 있게 하는 제도다. 즉, 기관에서 채권을 발급하면 불특정 다수에게 돈을 빌릴 수 있게 되고, 돈을 빌려준 사람 입장에선 빚문서를 사고팔 수 있게 된다. 결국 채권도 신용도, 만기 기한 등 여러 조건에 따라 나름의 방식에 따른 실물 경제가치를 지니게 되어 채권을 발행하는 1.. 2022. 8. 31.
펀드(Fund)란 무엇일까 펀드(Fund) = 기금 다수의 투자자로부터 모금한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에 대한 투자를 위해 고객들로부터 돈을 모아서 구성하는 일정 금액의 실적 배당형 투자 기금이며 자금 운용 단위를 가리킨다. 대한민국에서는 펀드 상품 자체까지 펀드라 부르며 은행, 증권사 등에서 가입 가능하다. 주식형과 채권형이 가장 기본적인 형태고, 상품의 편입 비율에 따라 무궁무진하게 분류를 만들 수 있으며 예금이 아닌 투자 상품인 관계로 일정액의 수수료를 떼는데 0.6~4%까지 뗀다. 매입 시에 수수료를 떼는지 아닌지에 따라서도 종류가 나누어지는데 수수료를 뗀다면 수수료 선취, 떼지 않는 다면 수수료 미징구라고 하며 일반적으로 수수료 미징구형이 총보수비용 비율(TER)이 높다. 주식, 채권 같은 기존 금융 상품이 아닌 부동산.. 2022. 8. 29.
인덱스 펀드(Index Fund)의 구조와 장,단점 인덱스 펀드(Index Fund)의 구조 인덱스 펀드의 구성 종목은 시가총액 비중대로 펀드 포트폴리오가 채워져 있다. 따라서 어느 정도 실력이 되는 사람이라면 인덱스 펀드를 가입하지 않고 자기가 직접 포트폴리오를 짜서 인덱스 펀드처럼 추종하게 할 수도 있는데, 이를 완전복제 법이라 한다. 인덱스 펀드로 시장 수익률을 넘기 위해 상위 종목 중 펀더멘탈이 약한 종목은 제외하는 경우가 많고 코스피 지수 등락은 KOSPI 200 지수 등락과 거의 일치 하기에 코스피 인덱스 펀드는 코스피 200 지수를 추종하고 코스닥 역시 KOSDAQ 150이 코스닥 지수와 상관성이 있으므로 코스닥 150으로 각정 펀드와 상품을 통일했다. 레버리지 인덱스 펀드 추종 지수를 100% 따라가는 일반 인덱스 펀드 외 파생상품과 결합하.. 2022. 8. 28.
인덱스 펀드(Index Fund)란? 주식에 투자하는 가장 종은 방법은 곧 인덱스 펀드에 투자하는 것이다. 인덱스 펀드는 그야말로 투자자에게 유리한 저가 상품이다 -워런 버핏- 인덱스 펀드(Index Fund) 인덱스 펀드는 해당 지수를 구성하는 주식을 지수에서 차지하는 비율대로 매입하여 지수를 복제하는 방식으로 운용한다. 그래서 시장 평균 수익률과 동일한 수익률을 올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해당 지수의 흐름에 몸을 맡기는 방식으로 운용하기 때문에 인덱스 펀드를 패시브 펀드의 대표적인 형태라고 말한다. 개별 주식의 가격이 오를지 내릴지 맞추기는 것도 골치 아프고 매매하다 보면 수수료 비용만 많이 발생하여 펀드 수익률이 낮아지므로 차라리 최소한의 운용수수료로 시장의 평균 수익률을 추구하면서 펀드 수익률을 높이는 펀드야 말로 최선의 펀드 상품이라.. 2022. 8. 27.
M&A(인수합병)에 대해서 M&A(Merger and Acquisition) 기업의 인수(Acquisition)와 합병(Merger)을 뜻한다. '인수'란 한 기업이 다른 기업의 주식이나 자산을 취득하면서 경영권을 획득하는 것이고, '합병'이란 두 개 이상의 기업들이 법률적, 사실적으로 하나의 기업으로 합쳐지는 것. 인수로는 기업이 사라지지 않으므로 주식 역시 그대로 유지되지만, 합병을 하게 되면 기업이 사라지면서 주식 역시 소각되고 원래 있던 피인수 기업의 주식을 일정한 교환비로 인수 기업의 주식으로 교환된다. 인수합병을 방식에 따라 나눌 수도 있는데 상대 기업의 지배 주주 세력과 원만한 협상을 통해 적정한 가격에 경영권을 넘겨받는 것을 우호적 M&A(Friendly Takeover)라 하고, 지배 주주 다수의 의사에 반해 경영.. 2022. 8. 25.
코스닥(KOSDAQ)에 대해서 코스닥(KOSDAQ)이란? 미국의 나스닥(NASDAQ:National Association of Securities Dealers Automated Quotation) 과 유사한 기능 하는 중소, 벤처기업을 위한 증권시장이다. 명칭은 나스닥을 한국식으로 영문 합성한 것으로 1996년 7월 1일 증권업협회에 의해 개설됐다. 코스닥의 첫 개념은 유가증권시장과 분리된 장외거래 주식시장으로 컴퓨터와 통신망을 이용해서 불특정 다수가 거래에 참여하는 시장으로 시작되었다. 이 점도 미국의 나스닥을 베낀 것이다. 물론 2022년인 지금은 코스닥은 장외주식시장이 아니고 제2의 주식거래소라고 보면 된다. 코스닥이 법적으로 '장내'주식시장이 된 것은 1994년 4월 1일 김대중 정권일 때 IT버블에 발맞춰서 코스닥 활성화 .. 2022. 8. 24.
우회상장, SPAC제도에 대하여 우회상장 주식거래에서 장외기업(비상장기업)이 장내 기업(상장기업)을 합병, *주식교환, 가교회사 설립, 제삼자 배정 유상증자 등을 통해 경영권을 취득해서 주식거래소에 상장하는 방식. 백도어 리스팅(Back Door Listing)이라고도 불리며 상장요건을 충족시키기에는 미흡하지만 성장성이 높고 재무적으로 우량한 비상장기업에게 자본조달의 기회를 주려는 취지로 도입된 제도다. (*주식교환-상장회사가 발행한 주식과 비상장회사가 발행한 주식을 교환함으로써 상장회사를 자회사로 편입시키는 방식) 우회상장은 타 회사를 인수하거나 이익에 부합돼서 하는 것이기에 상장을 노리는 회사 입장에서는 지분 손실 등 마이너스 요인이 크지만 정상적인 상장은 절차가 어렵기에 우회상장을 결의하는 것 자체가 하기로 한 기업이나 당하는 기.. 2022. 8. 23.
사이드카, 서킷브레이커 제도란? 사이드카(Sidecar) 프로그램 매매를 규제하는 가장 대표적인 방법으로 시장 상황이 급변할 경우 호가 효력을 일시적으로 제한함으로써 프로그램 매매가 주식시장에 미치는 충격을 완화하고자 하는 제도. 선물 가격이 기준가 대비 ±5% 이상인 상황이 1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 발동. 사이드카 제도는 선물시장에서 급등락이 일어날 경우 이를 방어하겠다는 취지로 *블랙먼데이 사태를 계기로 서킷브레이커와 같이 생겨난 제도다. (*1987년 10월 19일에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가 하루 만에 22.6%나 하락한 사건. 미국 증시 사상 최대 규모의 하락률) 서킷브레이커(Circuit Breaker) 주가의 급격한 변동으로 주식시장이 단숨에 붕괴는 것을 막기 위해 세계 각국에서 도입한 제도이다. 뉴욕 증권거래소(NYSE)가 .. 2022. 8. 20.
골디락스(Gold Locks) 경제란? 골디락스 경제 골디락스란 이름은 금을 의미하는 Gold와 땋은 머리, 곱슬머리를 뜻하는 Locks를 합친 말. 경제학에서는 경기가 좋아지고 경제성장이 계속되지만 물가는 크게 상승하지 않는, 너무 뜨겁지도 차갑지고 않은 딱 좋은 이상적인 경제상황을 뜻하는 용어. 골디락스가 아기 곰 접시에 담긴 너무 뜨겁지도 않고 너무 차지도 않은 적당한 온도의 수프를 먹고 기뻐하는 상태를 경제에 비유한 것. 경기 과열이나 불황으로 인한 높은 수준의 인플레이션이나 실업률을 경험하지 않는 양호한 상태가 지속되는 경제를 지칭. 2003~2006년의 세계 대호황이 바로 골디락스 경제다. 골디락스의 유래 영미권에서는 '세 마리 곰' 이야기라고 하면 유명한 동화가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지명도가 낮은 동화이지만 영미권에서는 상당히 유.. 2022. 8. 1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