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사이드카, 서킷브레이커 제도란?

by 오버그라운 2022. 8. 20.
728x90
반응형

사이드카(Sidecar)

프로그램 매매를 규제하는 가장 대표적인 방법으로 시장 상황이

급변할 경우 호가 효력을 일시적으로 제한함으로써

프로그램 매매가 주식시장에 미치는 충격을 완화하고자 하는 제도.

선물 가격이 기준가 대비 ±5% 이상인 상황이 1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 발동.


사이드카 제도는 선물시장에서 급등락이 일어날 경우 이를

방어하겠다는 취지로 *블랙먼데이 사태를 계기로

서킷브레이커와 같이 생겨난 제도다.

(*1987년 10월 19일에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가 하루 만에

22.6%나 하락한 사건. 미국 증시 사상 최대 규모의 하락률)


서킷브레이커(Circuit Breaker)

주가의 급격한 변동으로 주식시장이 단숨에 붕괴는 것을 막기 위해

세계 각국에서 도입한 제도이다. 뉴욕 증권거래소(NYSE)가 최초로 도입하였다.

더 정확하게 설명하자면 주가지수의 상하 변동폭이 10%를 넘는 상태가

1분간 지속될 때 투자자들에게 냉정한 투자 판단 시간을 제공하기 위해

모든 매매 거래를 일시적으로 중단하는 것이다.


서킷브레이커가 발동되면 20분 동안 모든 종목의 호가 접수 및

매매거래가 정지되며 향후 10분 동안 새로 동시호가가 접수된다.

총 30분간 매매가 이루어지지 않는 셈.

서킷브레이커는 하루 한 번만 발동될 수 있으며

장 종료 40분 전에는 발동될 수 없다.

그래프에 보시면 -----모양으로 캔들에 아무런 움직임이 없죠?

위에 그래프처럼 캔들(봉)이 아무런 움직임도 없이

-----으로만 표시된 게 보이시죠?

아무 변동 없는 저 구간이 서킷브레이커가 걸린 겁니다.


사이드카와 서킷브레이커의 개념 이해되셨나요?

사이드카는 선물시장에서

서킷브레이커는 주식시장에서 급변하는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제도라고 간단히 설명할 수 있겠네요!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