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82 경제적 자유주의(Economic Liberalism) 경제적 자유주의(Economic Liberalism)개인 또는 기업의 자유로운 경제 활동을 확고하게 추구하는 이념을 의미하며 유의어로 재정자유주의(Fidcial Liberalism)와 시장 자유주의가 있다. 경제적 자유주의가 개별적으로 자유주의의 한 '분파'로 볼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학계에서 여러 의견들이 존재하는데, 일반적으로는 자유주의 그 자체로 간주되기보다는 고전적 자유주의(17~19세기에 서유럽을 중심으로 나타난 이데올로기로, 천부인권과 경제적 자유에 기반한 법치주의 국가를 추구하는 사상이다.)의 한 요소나 형태로 언급된다.자유주의는 기본적, 전통적으로 시민자유를 지지하는 사상이고 그 내부에서 분파가 나뉘는 것인데 경제적 자유주의는 한 요소이긴 해도 이것만으로 시민의 자유를 담보하지 못한다. 가.. 2025. 6. 10.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1997 Asia Financial Crisis)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1997 Asia Financial Crisis)1997년 아시아 대륙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 전반적으로 걸쳐 생긴 금융위기다. 남아시아, 중앙아시아, 중동은 미포함이나 인도도 91년 경제위기 이후 불황이 있었고, 중앙아시아도 소련 붕괴로 인한 경제위기가 있었지만 여기엔 해당하지 않는다.1997년 7월에 태국 정부가 바트와 달러 사이의 고정환율제(정부가 특정 통화의 환율을 일정한 수준에서 고정하고 이 환율을 유지하기 위해 중앙은행이 외환시장에 개입하는 제도)를 유지하지 못하면서 바트의 가치가 하락했고, 이로 인해 태국에서는 똠얌꿍 위기라고 불리는 금융위기가 7월 2일에 발생했는데 여파가 주위 국가로 퍼지면서 악화되면서 대한민국에서 1997년 외환위기가 발생하는 계기가 되었다... 2025. 6. 9. 1997년 외환 위기(IMF) 1997년부터 대한민국에 발생했던 외환 유동성(경제학에서 어떤 자산의 현금화 가능성을 의미) 위기 사태이다.외환 위기 사태 발생 직전까지 문민정부의 금융 정책으로 인해 각 기업들은 무분별한 차입(돈이나 물건을 외부로부터 빌리는 것, 즉 외국자본을 무분별하게 빌려서 투자가 이루어졌다.)에 의존하며 무분별한 과잉투자를 벌였고, 동시에 국외적으로는 태국의 고정환율제(정부가 특정 통화의 환율을 일정한 수준에서 고정하고 이 환율을 유지하기 위해 중앙은행이 외환시장에 개입하는 제도) 포기로 인해 환율을 이용한 외국 자본의 차익 실현으로 동남아시아에 통화 위기가 발생하였고, 동북아시아를 거쳐 세계 경제에 불안을 가져오면서 한국뿐만 아니라 아시아 전체에 경제 위기를 불러왔다.한국에서는 단순히 IMF 사태, 외환위기 등.. 2025. 6. 8. 삼성 X파일 사건(안기부 X파일 사건) 안기부 X파일이라고도 불리는 사건이며 2005년 7월 22일 MBC 이상호 기자가 국가안전기획부의 도청 내용이 담긴 테이프를 입수하여 1990년대 중후반 삼성그룹과 정치권, 검찰 사이의 관계를 폭로하는 과정에 촉발되었다.1990년대에 안기부(국가안전기획부)의 비밀 도청팀인 미림팀(1992~1998 활동기간) 이 불법 도청으로 수집한 정보로 만든 이른바 안기부 X파일이 있었는데 이게 미림팀의 두 차례에 걸친 해체 이후 실업자가 된 정보원들이 X파일로 삼성을 협박해 안정을 꾀하려다가 기자가 이를 포착하면서 일이 커지게 됐다.미림팀은 노태우 정부 말기부터 가동되다가 김영삼 집권 1년 차에 해체됐다가 1994년에 재건해 김대중 집권 전까지 유지되었다.문민정부(문민의 뜻은 '일반 국민'과 같은 것으로 군부 출신의.. 2025. 6. 4. 중앙일보(The JoongAng Ilbo) 중앙일보(The JoongAng Ilbo)대한민국의 일간지 신문으로 논조와 정치적 성향은 보수 우파 성향이며, 보통 조선일보, 동아일보와 함께 보수 우파 신문의 삼대장이자 신문 시장을 독과점하는 조중동이라고 불려 온다.1965년 창간 당시에는 삼성그룹의 계열사로 출범하였으나, 1999년 계열 분리하였다.현재는 중앙그룹 계열 중앙일보(주)에서 발행하며, 원래는 사명이 (주)중앙일보였으나 2018년 3월에 중앙일보(주)로 변경하였다.원래는 석간신문이었으나, 1995년 4월부터 조간신문으로 전환하면서 한국 신문사 중에서는 일찍이 인터넷 홈페이지를 열었고, 자사 언론에서 축적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해서 오픈토리라는 이름의 위키위키 서비스를 열기도 해서인지 스스로 '아시아 최초의 인터넷 신문'이라고 부른다.홍석현 .. 2025. 6. 3. 동아일보 광고탄압사건(언론 탄압/대한민국) 1974년 12월 경부터 1975년 1월 초에 일어난 박정의 정부 초유의 언론탄압 사건으로 흔히 "동아일보 백지광고 사태"라고도 불리는데 미리 계약된 광고들이 모조리 해약되어 광고면이 텅 빈 상태로 나갔기 때문에 이렇게 칭하며 당시 동아일보에서는 광고 신청을 촉구하는 문구를 인쇄하였다.1974년 겨울부터 동아일보의 광고면이 하나둘씩 비워지기 시작했는데, 당시 광고는 예약제였기 때문에 미리 동판을 만들고 강판하는 과정을 거쳤는데 예약한 광고주들이 돌연 광고를 철회하면서 미리 제작해 둔 광고동판을 다 깨부숴 버렸었다.당시 유력 일간지였던 동아일보는 일주일치 분량의 광고를 예약받는 환경이었는데 순식간에 일주일치 광고가 빠지면서 그 자리를 급히 채울 여건이 안되었다.광고거부 이전인 10월 24일에는 동아일보가 .. 2025. 5. 31. 동아일보(DONG-A ILBO) 동아일보(DONG-A ILBO)대한민국의 조간 종합 일간 신문으로 1920년 4월 1일에 창간되었다.현재 발행되고 있는 중앙 일간지 중에서는 서울신문, 조선일보에 이어 세 번째로 역사가 오래된 일간지다.전라도 지역의 부호였던 인촌 김성수가 설립하였고, 1980~1990년 대에는 "전라도 사람은 껌은 해태 껌을 씹고 신문은 동아일보를 본다."라는 말까지 있었다고 하며, "동아일보"라는 명칭은 창간 멤버 중 한 명이었던 유근(독립운동가, 언론인)이 지었다.1980년대 이후 전두환 정부와 결탁한 조선일보가 급속한 성장세로 구독 부수 1위를 기록하며 신문 업계의 원톱이 되기 이전까지는 한국일보와 더불어 구독 부수나 매체 영향력면에 있어서 쌍두마차로 불릴 정도로 강한 신문이었고, 사실상 신문 업계에서 2위 없는 .. 2025. 5. 30. 조선일보(The Chosun ILbo) 조선일보(The Chosun ILbo)대한민국의 조간 일간 신문으로 1920년 일제강점기 중 문화 통치기에 언론 탄압이 완화되었을 때 첫 발간되었으며, 2017년 6월 24일 대한민국 최초로 지령 30,000호를 넘었으며, 2020년 3월 5일 창간 100주년을 맞이하였다.신문의 논조와 정치적 성향은 국내의 제도권 신문들 중 가장 강경한 보수, 우파, 반공주의이며, 실제 대내외적으로도 보수주의(2019년 12월 21일 사보에서 방상훈 사장이 신년사에서 조선일보를 "보수 언론"으로 언급한 내용이 있다.) 성향을 공개적으로 표방하였고, 한국의 보우 우파 신문 3대 장인,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조중동) 중에서 언제나 첫 번째로 꼽히는 언론이기도 하다.2020년대 이후에도 최소한 신문 업계 내에서 만큼.. 2025. 5. 29. 마이니치 신문(The Mainichi Shimbun) 마이니치 신문(The Mainichi Shimbun)일본의 전국 일간지 중 3번째로 많은 부수를 발행하고 있으며, 1872년 창간으로 사실상 일본 현존 최고의 신문사이기도 하다.명목상 일본 최초의 신문은 1871년 창간된 요코하마마이니치 신문인데, 신기하게도 마이니치 신문과 제호가 겹친다.이후에 도쿄요코하마마이니치 신문, 도쿄마이니치 신문 등으로 제호를 변경하고 후일 데토니치니치 신문에게 합병되는데, 우연의 일치인지 모회사에서 발행하던 신문의 제호가 또 마이니치 신문의 옛 제호인 도쿄니치니치 신문과 겹친다.그 후 이 신문은 야마토 신문으로 제호를 다시 변경했고, 이 야마토 신문을 최초 또는 현존 최고의 신문사로 치지 않는 이유는 인수과정에서 도쿄마이니치 신문이 아닌 데토니치니치 신문의 지령을 따르기로 결.. 2025. 5. 28. 이전 1 2 3 4 ··· 10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