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펀드7

ETF(상장 지수 펀드)의 장점, 단점 ETF(상장 지수 펀드)의 등장으로 다양한 상품에, 다양한 방식으로 손쉽게 투자할 수 있는 시대가 열렸다 해도 과언이 아닌데 이런 측면에서 일반 투자자들의 투자를 민주화했다고 표현하기도 한다. 그럼 ETF(상장 지수 펀드)의 장점과 단점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장점 1. 리스크 분산 보통 주식에서 분산투자를 하려면 많은 종목을 사야 하고 이로 인해 돈이 상당히 필요해진다. 하지만 ETF는 몇만 원만 있으면 시장 전체 또는 특정 업종 전체에 투자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고 ETF는 적게는 10개 종목, 많게는 400개가 넘는 회사의 주식으로 구성되어 있어 기본적으로 분산 투자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개별 회사에 악재가 터져 떨어지더라도 해당 회사에 주가에 비하면 크게 요동치지 않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안전하.. 2022. 9. 29.
펀드의 장,단점에 대해서 펀드의 장점 1. 자본 시장이 외국인에게 완전히 개방되지 않은 국가들 중에는 펀드를 통하지 않으면 아예 투자 자체가 불가능한 곳들도 많다. 2. 중소형주 펀드를 들면 적은 돈으로 여러 성장성 높은 중소형주에 분산투자가 가능해 안전한 편이다. 3. 펀드라는 상품은 특성상 구입하기만 하면 펀드매니저가 전략대로 대신 돈을 굴려주다 보니 내가 직접 펀드를 알아보는 시간외에는 시간이 많이 들지 않고 전문가가 제2의 수익을 만들어주는 것이 장점이다. 4. 다른 상품보다 자동화하기가 쉽다. 특정한 날자에 자동 매수를 걸어 놓으면 매수금만큼 자동으로 구입한다 5. 초보가 접근하기에 쉽게 난이도 자체도 낮은 편이고 주식의 상황을 많이 모르더라도 상관이 없다. 왜냐면 이미 분산투자를 기본으로 하기 때문이다. 6. 세제혜택.. 2022. 9. 28.
펀드의 종류와 자금, 투자 모집 방식 기준 펀드의 종류 1. 주식형 펀드 - 주식 또는 주식 관련 파생상품에 60% 이상 투자하는 펀드 인덱스 펀드 - KOSPI200, S&P500, 닛케이 225 등 특정 주가지수를 따라가는 펀드 인버스 펀드 - 주가 지수를 따라가는 상품의 선물을 매도해 주가지수가 하락할 때 수익을 얻는 펀드 2. 채권형 펀드 - 채권 또는 채권 관련 파생상품에 60% 이상 투자하는 펀드로 수익성은 낮지만 안정성 높음 인덱스 펀드 - 주식형 인덱스와 비슷하며 시장에서 매매하는 모든 채권을 시가총액 따라 조금씩 산다. 3. 혼합형 펀드 - 주식과 채권을 짬뽕시킨 펀드로 한국에서는 수수료율이 주식형, 채권현을 합친 것보다 훨씬 높은 편인데 미국에서는 수수료 낮은 인덱스 펀드가 많이 발달하여 TDF(Target-Date Fund)라.. 2022. 8. 30.
펀드(Fund)란 무엇일까 펀드(Fund) = 기금 다수의 투자자로부터 모금한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에 대한 투자를 위해 고객들로부터 돈을 모아서 구성하는 일정 금액의 실적 배당형 투자 기금이며 자금 운용 단위를 가리킨다. 대한민국에서는 펀드 상품 자체까지 펀드라 부르며 은행, 증권사 등에서 가입 가능하다. 주식형과 채권형이 가장 기본적인 형태고, 상품의 편입 비율에 따라 무궁무진하게 분류를 만들 수 있으며 예금이 아닌 투자 상품인 관계로 일정액의 수수료를 떼는데 0.6~4%까지 뗀다. 매입 시에 수수료를 떼는지 아닌지에 따라서도 종류가 나누어지는데 수수료를 뗀다면 수수료 선취, 떼지 않는 다면 수수료 미징구라고 하며 일반적으로 수수료 미징구형이 총보수비용 비율(TER)이 높다. 주식, 채권 같은 기존 금융 상품이 아닌 부동산.. 2022. 8. 2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