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코스피(KOSPI)에 대하여

by 오버그라운 2022. 9. 27.
728x90
반응형

앞선 글에서 간단하게 코스피, 코스닥, 코넥스에 대하 비교해봤었는데요.

이번 글은 코스피에 대해 더 자세하게 설명하는 글을 적어보겠습니다.

 

간단한 비교가 궁금하시면 밑에 클릭하세요!

코스피, 코스닥, 코넥스에 대해


코스피란?

코스피 지수(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KOSPI)

한국 종합주가지수란 뜻으로 코스피라고 많이들 부르죠.

지금은 의미가 확대되어 사실상 유가증권시장을

코스피시장(KOSPI Market)이라고 부르죠.

한국 정식 명칭은 여전히 유가증권시장이며 한국거래소에서 공식적으로 명칭을 변경한 적은 없다.

유가증권시장에 기업공개를 통해 상장하려는 기업은 상장 예비심사 청구 수수료

500만 원을 납부하여야 한다.(한국 상장회사 협의회) - <궁금하신 분은 눌러보세요>


코스피는 대한민국의 제1 증권시장이고 역대 최고치는 2021년 6월 16일에 기록한 3,316.08포인트이며,

종가 기준 역대 최고치는 2021년 6월 16일에 기록한 3,302.84 포인트다.

현재는 약 2100조 원 규모의 굵직한 기업들이 모여있고 대기업 및 준대기업 등 좋은 주들이 많이 있다.


코스피시장의 가격제한폭은 상하 30%이고 선물시장으로 코스피 200이 있으며

거래량이나 거래대금으로 볼 때 세계 3~4위의 규모를 자랑하고,

*사이드카 제도와 서킷브레이커 제도가 시행된다.

*사이드카와 서킷브레이커에 대해


대한민국의 공식적인 대표 주가지수는 KRX300인데 정작 외국인들마저

코스피가 대표지수인 줄 알고 있다.

그 정도로 코스피의 네임벨류가 상당하다 할 수 있다.

미국, 영국, 중국, 싱가포르, 홍콩, 일본 등 외국 경제방송 하단 자막에는

 코스피와 코스닥지수가 나오기에 실질적 대표지수로서 유효하다 볼 수 있다.

타국에서 증시 현황을 보여줄 때 코스피는 항상 등장하는 편이지만

몇몇 국가만 축약해서 보여줄 때는 포함시키지 않는다.

전 세계에서 한국의 코스피시장이 꽤 큰 편이지만 동아시아에서는

상하이종합지수와 닛케이 225 지수에 밀려 대표성이 낮기 때문이다.


현재의 코스피는 시가총액식 주가지수로 1983년 지정되었다.

그전에는 다우존스식 수정주가 평균 방식으로 계산했었는데

1964년 처음으로 주가지수 산출을 시작했고 경제규모가 커져서

기존 주가지수가 새로 상장된 기업들의 주가 수준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얘기가 나오면서 1972년 한국 종합지 수라 고를

새로 지정하여 1982년까지 사용했었다.

 

코스피 지수를 산출하는 간단한 식으로 표현하자면

비교시점은 현재 시가총액, 기준시점은 1980년 1월 4일 시가총액이다.


2022.08.19 기준 코스피 구성종목

코스피를 구성하고 있는 종목들을 간단하게 파악해보자.

우리나라 주요 대기업들이 많이 보인다.


이번 글은 코스피에 대해 좀 더 디테일하게 파악해봤습니다.

주식을 시작하면서 제일 기본이 되는 지수이기도 하고

코스피? 그게 뭐지 하고 생각한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그럼 이만 마치고 다른 글로 다시 뵙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