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주식43

NYSE(New York Stock Exchange) 뉴욕증권거래소 대하여 NYSE(New York Stock Exchange) 뉴욕증권거래소뉴욕 월 스트리트 11번가에 위치한 증권거래소로 시가총액 기준 세계 1위 거래소이며 세계 주요 기업들의 주식이 상장되어 있는 곳이고 "Big Board"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나스닥 보다 약잔 적은 2300여 개의 상장사가 소속된 거래소이지만 시가총액의 총합은 나스닥 보다 크다.1960년대 중반에 NYSE 종합지수가 만들어졌고, 1965년 연말가치와 동등하도록 설정된 50포인트의 기준가(base value)가 설정되었고, 이는 30개 주식만 포함되는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같은 지표를 대신하여 거래소의 모든 주식거래의 가치를 반영하게 되었다. 이 지수의 수준을 올리기 위하여 2003년 NYSE는 2002년 연말가치와 동등하도록 설정된 5,.. 2025. 5. 12.
나스닥(Nasdaq) 증권거래소에 대하여 나스닥(Nasdaq)National Association of Securities Dealers Automated Quotations의 약자.뉴욕 월가에 위치해 있는 미국의 대표적인 증권거래소 중 하나이다.1971년 2월 8일에 창립되었고, 처음에는 장외시장이었는데 무섭게 성장하면서 장내시장으로 인정받게 되었고 미국의 벤처기업들이 자금 조달을 쉽게 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갖추고 1971년 설립 당시부터 컴퓨터를 이용한 자동 거래 시스템을 구축했다고 한다. 시가총액 기준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이은 세계 2위 증권거래소다.벤처 기업을 위한 시장답게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알파벳, 애플, 아마존닷컴 등 IT 회사들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상장, 상장 유지, 추가 상장, 주식 배당 등의 수수료가 NYSE.. 2025. 5. 1.
S&P 500지수에 대하여 S&P 500미국의 신용평가회사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에서 개발한 미국의 주가지수이다.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나스닥 종합지수와 더불어 미국 증시의 대표 주가지수로 불리고 있고 미국 내 증권거래소 상장 기업 시가총액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약 500곳의 대기업이 포함되어 실질적인 간판 지수로 취급된다.그 외에도 S&P 400은 중형주, S&P 600은 소형주를 모은 지수이며이 기업들을 전부 모은 지수로는 S&P Composite 1500이 있다.특징뉴욕증권거래소(NYSE), 나스닥, 시카고옵션거래소(CBOE)에 상장된 주식 중 미국 500대 대기업의 시가총액 기준 주가지수이다.즉, 기준 시점의 시가 총액에 비해 늘어난 현재의 시가총액을 나타낸 지수다.1957년 3월 4일부터 발표되기 시작했고, 당시에.. 2025. 4. 30.
다우 존스 산업평균지수(Dow Jones Industrial Average) 다우 존스 산업평균지수(Dow Jones Industrial Average)미국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대형주 30곳을 묶어서 발표하는 주가지수다.같은 업체에서 추적하는 S&P 500과 형제 지수이며 다우지수의 종목은 통장적으로 S&P 500에도 포함되어 있다.주식분할이나 다른 조정의 효과를 상쇄시키기 위하여 다우지수는 주가 수익률의 산술 평균을 사용한다.개별 기업의 수익률의 총합을 총기업수로 나누는 방식의 수익률 평균 방식으로 지수를 사용한다.기준 지수는 전일 지수를 사용하여 산출하는데 이로 인해 시가총액 가중방식을 사용하는 S&P 500 지수에 비하여 산업 전체의 대표성이 부족하는 의견이 있지만 역사가 오래되었기 때문에 미국 증시흐름을 얘기할 때는 다우지수를 많이 사용한다.하지만 S&P 500 지수가 점.. 2025. 4. 29.
KOSPI 200(Korea Stock Price Index 200) KOSPI 200(Korea Stock Price Index 200) 대한민국의 주가 지수 중 하나로 한국거래소(KRX)에서 1초 단위로 발표하고 있다. 2005년까지는 현행 코스피 지수 및 대부분의 다른 지수들과 마찬가지로 10초마다 발표되었으며 2020년 12월 6일까지는 2초 단위로 발표되었으며 주가지수 선물이나 옵션을 만드려고 하는데 코스피 지수는 구성종목이 너무 많아서 시장의 대표성을 갖기 어렵다고 판단하여 대형주 위주의 새 지수를 만든 것이 코스피 200이다. 하지만 코스피 지수에 비해서 지수 값이 한참 낮은데 그 이유는 코스피 지수가 900P선이었을 때 산출을 시작했기 때문이다. 코스피 지수와 마찬가지로 시가총액식 주가 지수의 일종으로 매년 7월 1일에 구성종목이 변경되었으나 현재는 코스피 .. 2023. 1. 11.
KTOP30, KRX100, KRX300 KTOP 30 한국거래소(KRX)가 코스피 시장과 코스닥 시장의 우량 종목 30개를 골라서 발표하고 있는 대한민국 주가지수이다. 2015년 7월 13일에 처음 선보인 지수로 6,013.45 포인트로 시작됐다. 가장 오래된 주가지수 산출방식인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를 벤치마킹했고 매년 9월에 편입 종목을 재구성한다. TOP 30이라고 해서 무조건 시가총액 순으로 30위까지를 고르는 게 아니라 코스피, 코스닥 시장 전체에서 시가총액 상위 100개 기업 중 거래대금, 거래량, 회전율, 경제 대표성, 지속 가능성 등 정량, 정성적 요인을 고려해서 선정한다. 예로 2017년 8월 11일 기준으로 KTOP 30 종목 중 가장 시가총액이 낮은 기업은 유한양행인데 등수로만 치면 코스피 98위였지만 위의 요인을 고려해서 .. 2023. 1. 10.
K-OTC와 장외시장(Off Board Market) K-OTC(Korea Over-The-Conunter) 대한민국의 주식시장의 하나로 코스피, 코스닥, 코넥스에 이은 제 4시장에 해당하고 2005년부터 프리보드 시장으로 운영되다가 2014년 8월부로 K-OTC로 명칭이 바뀌었다. 본래는 코스피, 코스닥 외의 장외거래 제도로써 제 3시장 개념이었으나 코넥스가 등장하면서 밀려나게 되었다. 한국거래소에서 운영하는 정규시장과 달리 2009년 자본시장통합법에 따라 한국증권업협회, 자산운용협회, 한국선물협회가 통합하여 설립된 한국금융투자협회에서 운영, 관리 한다. 코스피, 코스닥 시장에서 상장되지 못한 장외기업들이 제도권 주식시장에 들어와서 자금을 대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K-OTC의 존재 목적이다. 2000년 3월 IT버블이 한창일 때 코스닥 시장을 운영하던 .. 2023. 1. 9.
코넥스 시장(KONEX Market) 코넥스 시장(KONEX Market) 2013년 7월 1일에 출범한 대한민국 주식시장 중 하나로 제3 시장에 해당된다. 한국거래소에서 운영하며 코스닥 시장에 상장할 요건이 안 되는 중소기업들을 지원하여 성장을 시켜 주기 위한 주식시장으로 코넥스 시장이 출범하면서 원래 제3 시장이라 불리던 K-OTC는 제4 시장으로 밀려나게 된다. 코스피, 코스닥과는 달리 별도의 주가지수를 발표하지 않으며 내부적으로 지수 산출을 하고 있지만 시장 규모가 작고 인지도도 낮으며 거래량도 매우 적어서 하루에 100주 미만의 거래가 있는 종목도 많고 매년 10%가량의 기업들이 코스닥으로 빠져나가기 때문에 지수가 실제 시장상황을 반영한다고 보기도 어렵고 파생상품을 만들기도 힘들기에 공개하지 않는다. 코넥스 시장은 우수한 기술력을 .. 2023. 1. 8.
코스닥(Korea Securities Dealers Automated Quotation) 코스닥(Korea Securities Dealers Automated Quotation) 한국거래소 코스닥 시장 본부가 운영하는 주식시장의 통칭이며 시장 자체를 말하기도 하고 이와 연계된 지수를 가리키는 말이기도 하다. 시장을 감독하는 코스닥 시장 위원회와 운영을 총괄하는 코스닥 시장 본부가 있으나 코스닥 시장 본부장이 코스닥 위원장을 겸임했다. 그러나 2018년부터 금융위원회가 시장의 독립성과 자율성을 확보하기 위해 위원장과 본부장을 분히시키기로 하였고 이름은 미국의 나스닥을 차용한 것으로 한국거래소에서도 인정했다. 코스닥의 첫 개념은 기존의 유가증권시장과 분리된 장외거래 주식시장으로서 당시 주식시장에서 쓰이던 증권거래소 건물에서의 중개인을 통한 직접 주식거래를 벗어나 장외에서 컴퓨터와 통신망을 이용해.. 2023. 1. 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