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배당4 보통주, 우선주, 후배주, 공모주란 무엇일까? 보통주 보통주는 주식회사의 가장 일반적인 주식으로 우선주, 후배주, 혼합주 등과는 상반된 위치에 있다. 가장 기본적인 주식이며 주식회사는 다른 주식은 발행하지 않아도 보통주만은 꼭 발행해야 한다. 말 그대로 보통인 주식이며 거래가 가장 활발하고 주주총회에서 의결권 행사가 가능한 주식이기도 하지만 우선주에 비해 우선순위가 밀리고 배당순위에서 밀리는 등, 불이익이 조금 존재한다.(보통주 외에 다른 주식이 없다면 최우선순위이다) 흔히 어떤 회사의 주식이라고 칭한다면 보통주를 말하는 것이다. 우선주 우선주는 보통주에 비해서 특정한 우선권을 부여한 주식을 말한다. 주식시장에서 회사명+"우"라고 표기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우선주는 주주총회에서 의결권이 없고 배당에 대해서 약간의 이익(추가 배당)을 더 준다. 다만,.. 2023. 1. 1. 무상증자와 권리락, 실권주에 대해서 무상증자(Bonus Issue) 무상증자는 주주에 의한 새로운 자본금 없이 재무상태표의 자본항목을 변동시켜 자본금을 늘리는 것이다. 유상증자와 달리 형식적 증자라고 불린다. 주식회사 재무제표를 보면 오른편에 자본이라는 항목이 있다. 자본에는 자본금(수권자본이 아닌 발행주식의 형태를 말한다.), 자본잉여금, 자본조정, 기타 포괄손익누계액, 이익잉여금의 다섯 항목으로 구분된다. 이 중에서 자본금과 기타 포괄손익누계액을 제외한 세 항목의 자금을 자본금으로 전입시켜서 주식을 늘리는 것이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무상증자 중 이익잉여금을 자본금으로 전입시키는 것을 주식배당이라 부른다. 무상증자를 하면 주식수가 늘어나 물량 부담이 되긴 하지만, 유상증자와 달리 기존 주주들에 한해 주식을 늘려주는 것이라 유동주식 부족으.. 2022. 12. 27. 기업과 주가의 상관관계와 주가는 누가 결정할까요? 기업과 주가의 상관관계는 무엇일까? 주식이 발행되고 나면 회사의 자본금은 변하지 않기 때문에, 다시 생각해보면 결국 주가가 오르든 내리든 기업과는 직접적인 상관이 없다는 걸 알 수 있다. 과거의 주식은 안정적으로 성장하거나 돈을 버는 기업일수록 배당이 잘되므로 주식을 가지고 싶은 사람들이 많아진다는 논리로 주가가 올랐다지만, 현대의 주식은 배당의 중요성이 크게 떨어졌으며, 아마존닷컴 같은 거대기업은 엄청난 이익을 벌어도 배당할 바에야 다른 투자를 하겠다고 배당하지 않는다. 그럼 현대에 와서 기업의 성공은 주가와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 것일까? 주가 상승이 회사에게 주는 이득은 회사의 시가총액이 높을수록 회사의 가격이 올라가서 회사를 사고파는 인수합병(M&A)에서 크게 유리 해진다. 한마디로 주식은 회사라는.. 2022. 12. 22. 주식이란 무엇이며 왜 만들며 왜 살까요? 주식분산출자를 바탕으로 성립한 회사의 자본을 이루는 단위 및 그것을 나타내는 유가증권이다.주식회사는 이것을 발행해서 자본을 분산투자받은 회사다.개인이나 단체가 특정 회사에 일정 금액을 투자해주고 그 대가로 정해진 기간마다 투자금에걸맞은 이득, 즉 투자금에 비례하는 이익을 배당받거나 회사 경영권을 행사할 수 있게 하는 제도다.회사 규모에 따라 다르겠지만 투자금액에 따라 1%든, 10%든 회사 지분을 소유하게 되는 것이다.주식을 가진 사람들(주주)은 소유한 개수에 비례해서 이윤을 배당받을 권리가 있다.즉 회삿돈으로 돈을 불리고 불린 돈을 회삿돈 주인들(주주)에게 되돌려 준다는 약속을 위한증서로써의 가치가 주식의 기본이다.주식이 전산화되기 이전엔 주식 증권은 한자뜻 그대로 종이였고 이것을 주권이라 불렀으며,거.. 2022. 12. 21.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