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차트 용어와 주식 은어들을 알아봅시다!
주식 용어 보러 가기
우선 차트 용어들을 알아보기 위해
삼성전자 차트를 가지고 와봤어요.
사진에 보시면 빨간색, 파란색 막대들이 있죠?
이 막대들을 보통 캔들이라고 부릅니다.
- 양봉 - 상승을 의미하는 빨간색 막대입니다.(국내에선 빨간색, 미국 증시는 녹색)
- 음봉 - 하락을 의미하는 파란색 막대입니다.(국내에선 파란색, 미국 증시는 빨간색)
- 거래량 - 하루 동안 해당 주식의 거래량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보통 차트 하단에 보입니다.
- 시가 - 날마다 시장에서 처음으로 거래된 주가
- 고가 - 날마다 시장에서 가장 높게 거래된 주가
- 저가 - 날마다 시장에서 가장 낮게 거래된 주가
- 종가 - 날마다 시장에서 마지막으로 거래된 주가
- 봉 - 연속적인 주가의 흐름을 시간 단위로 구분한 범위 내에서 움직이는 주가를 뜻한다.
- 일봉 - 하루의 시가, 고가, 저가, 종가를 전부 나타낸 것
- 분봉 - 내가 설정한 분 단위로 봉을 나타냄(1분, 3분, 5분, 10분, 15분, 30분 등)
- 주봉 - 일주일 단위로 봉을 나타냄
- 월봉 - 매월 단위의 봉을 나타냄
- 이동평균선 - 장래 예측에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주가 또는 매매대금, 매매량 등을 지나간 평균 수치로 계산하여 도표화한 주식시세 예측지표(차트 우측 상단에 보면 이동평균이랑 되어있죠? 그리고 차트에 보면 포물선으로 표시된 것들이 이동평균선들입니다. 숫자는 5, 20, 60, 120으로 되어있는데 일단위로 평균 가격을 표시한 것입니다. EX) 5일, 20일, 60일 등의 평균 가격) 이동평균선은 줄여서 이평선이라고도 부릅니다.
- 단기 추세 - 5일 이동평균선으로 파악
- 중기 추세 - 20일, 60일 이동평균선으로 파악
- 장기 추세 - 120일, 200일 이동평균선으로 파악
- 정배열 - 지수의 이동평균선을 그래프로 나타낼 때 위에서부터 5, 20, 60,120일선으로 배열이 되어 있는 경우
- 역배열 - 정배열의 반대 순서대로 나타낸 것. 역배열은 주가가 장기간 하락하는 시기에 주로 발생합니다.
- 골든크로스 - 주가를 예측하는 기술적 분석상의 한 지표. 단기 주가 이동평균선이 장기주가 이동평균선을 아래에서 위로 급속히 돌파하는 상황.
- 데드크로스 - 중기 이동 평균선이 장기 이동 평균선을 위에서 아래로 급속히 뚫고 내려오는 현상. 약세시장으로 전환되는 신호를 의미.
- 추세선 - 장기적인 주가 변동을 그린 곡선. 주가 흐름을 통해 주가 예측을 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선. 상승 추세선과 하락 추세선, 평행 추세선 등이 있으며, 기간에 따라 단기, 중기, 장기 추세로 구분
- 보조지표 - 보조적으로 사용하는 지표. 주가의 일봉, 거래량 등의 지표로 정확한 매매신호를 찾기 어려울 때가 있기 때문에 차트에서 보조지표들을 사용합니다. 보조지표는 추세, 변동성, 시장 강도, 가격, 모멘텀, 거래량 지표 등으로 나뉘며 각각에 세부 지표들이 많이 존재합니다.
주식에서 자주 쓰는 은어들을 알아보죠!
- 익절 - 해당 주식을 매수한 금액보다 높은 금액에서 매도를 하는 것
- 손절 - 해당 주식을 매수한 금액보다 낮은 금액에서 매도를 하는 것
- 물타기 - 내가 보유 중인 주식의 가격이 하락했을 때 추가 매수를 통해 평단가를 낮추는 것
- 불타기 - 내가 보유 중인 주식의 가격이 상승추세일 때 추가 매수를 통해 이익을 극대화하는 것
- 총알 - 주식을 매수하기 위한 자금
- 몰빵 - 한 종목에 모두 투자하는 것
- 상따 - 상한가 따라잡기라는 뜻. 상한가에 가기 직전의 종목 또는 상한가를 찍은 종목을 추가 상승 여력이 있다고 판단해서 매수하는 것.
- 사상 - 따블로 상승이란 뜻. 신규 상장 종목이 첫 거래일에 공모가 대비 두배로 시초가가 형성된 뒤 가격제한폭까지 올라 마감하는 것.
- 쩜상 - 매수세가 강력해서 시초, 고가, 저가, 종가 모두 상한가인 경우. 일봉 차트상 점으로 표기되기 때문에 표현하는 방법
- 떡상 - 주가가 엄청나게 폭등했다는 의미로 쓰임. 주가가 폭락하고 나서도 많이 회복됐을 때도 사용한다.(지수는 마이너스 일지라도요)
주식시장에서 사용하는 여러 단어들을 알아봤습니다!
투자할 때 헷갈렸거나 몰랐던 단어를 파악하셨길 바라요~
그리고 투자는 내 자산의 가치를 지켜야 하고 올바르게 성투하시길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채권에 대하여 (0) | 2022.08.31 |
---|---|
코스닥(KOSDAQ)에 대해서 (1) | 2022.08.24 |
우회상장, SPAC제도에 대하여 (0) | 2022.08.23 |
주식용어 살펴보기! (1) | 2022.08.10 |
주식과 경영에 대한 이해 (0) | 2022.08.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