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양적완화(QE)란?

by 오버그라운 2022. 8. 12.
728x90
반응형

양적완화(Quantitative Easing) = 약어 QE

금리 인하를 통한 경기 부양 효과가 한계에 봉착했을 때, 

중앙은행이 국채 매입 등을 통해 유동성을 시중에 직접 공급함으로써

*신용경색을 해소하고 경기를 부양시키는 통화 정책을 일컫는 말

(*금융기관에서 돈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시중의 자금 유동성이 어려워지는 상황)


중앙은행이나 이에 준하는 통화 발권 기관이 화폐를 발행한 후

화폐를 금융시장의 신용경색 해소와 경기 부양을 위해 국채나

민간이 가지고 있는 일정 신용등급 이상의 채권을 매입하여

통화량을 늘리는 적극적인 통화정책이다.

양적완화는 정책 금리가 0에 가까운 초저금이 상태여서 더 이상

금리를 내릴 수도 없고 재정도 부실할 때 경기 부양을 위해 사용된다.

 

*공개시장운영과의 가장 큰 차이점은 정책 효과가

이자율을 거치지 않고 바로 파급된다는 점이다.

(*공개시장운영의 경우 국공채 매입 등의 방법을 통해 단기금리와

시중 유동성을 조절하고 마감일에 맞춰 은행들의 현금 유동성을 조절하기도 함)

 

양적완화란 용어는 세계 금융위기 이후 미국이 사실상 제로금리 시대에 들어서면서

변칙적인 경기부양책을 고민하다가 *잃어버린 10년을 먼저 겪은 일본의

경우를 벤치마킹하면서 용어도 같이 들여온 것이다.

(*잃어버린 10년은 1980년대 일본 거품경제의 소멸 이후

1996년부터 2007년까지 이어진 일본의 경제 불황을 일컫는다.)

한 나라의 양적완화는 다른 나라 경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 양적완화를 시행해서 달러 통화량이 증가하면

달러의 가치가 하락하고 미국 상품의 수출 경쟁력이 커지게 된다.

그러면서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면서 물가도 같이 상승한다.

달러 가치와는 반대로 원화 가치가 상승한다.

 

이렇게 양적완화로 유동성이 충분히 공급되면서 경기가 회복되어갈 경우,

중앙은행은 양적완화 규모를 점점 축소시킨다.

이런 정책을 테이퍼링(TAPERING)이라고 한다.


경제적으로 중요한 양적완화에 대해 써봤습니다!

양적완화가 끼치는 영향력에 대해 알아보는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