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양적 긴축(Quantitative Tightening) = QT
지출을 줄인다는 것을 뜻한다.
경기가 어려우면 정부는 *양적완화를 통해 시장에 막대한 돈을 풀어
경기회복을 유도한다.
긴축은 양적완화와 대비되는 말로 시장에 풀리는
돈의 유입을 줄인다는 개념이다.
양적 긴축은 프레드릭 뉴먼 HSBC 수석 이코노미스트가 제시한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한 새로운 접근법이다.
긴축은 대부분 금리인상을 통한 투자심리 위축부터 정부의 자산 매입을 줄이는 테이퍼링,
그리고 매입한 자산을 매도하는 양적 긴축의 단계로 진행된다.
그러나 양적 긴축만 해서 자산이나 채권을 매도해놓고
실질적 긴축은 하지 않는다면, 인플레이션도 일어나고 국가채무는 늘어나는
스태그플레이션이 일어나게 된다.
양적 긴축과 실질적 긴축은 동시에 일어나야 하며 국가 및 금융권의 보유고를
늘려 물가를 억제하고 투자를 확대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긴축은 주로 시장에 지나치게 돈이 많은 풀려 현금의 가치가 낮아질 경우 시행된다.
긴축이 시행되면 시장의 경제지표들이 모두 요동친다.
주식, 선물, 채권 등은 떨어지고 원자재, 채권금리, 금, 은 등은 오르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시장이 반응하는 속도의 차이일 뿐 물가 자체가 안정되므로
올랐던 원자재 가격도 곧 떨어지게 된다.
주식에선 성장주, 기술 분야 쪽은 떨어지고 가치주, 금융, 건설 등이 올라가는 경향을 보인다.
양적완화완 다른 양적 긴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위의 내용 중 인플레이션과 스태그플레이션은 따로 정리해서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이드카, 서킷브레이커 제도란? (0) | 2022.08.20 |
---|---|
골디락스(Gold Locks) 경제란? (0) | 2022.08.19 |
애그플레이션과 프로틴플레이션 (0) | 2022.08.18 |
인플레이션(Inflation)과 디플레이션(Deflation) (0) | 2022.08.17 |
양적완화(QE)란? (0) | 2022.08.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