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투자4 보통주, 우선주, 후배주, 공모주란 무엇일까? 보통주 보통주는 주식회사의 가장 일반적인 주식으로 우선주, 후배주, 혼합주 등과는 상반된 위치에 있다. 가장 기본적인 주식이며 주식회사는 다른 주식은 발행하지 않아도 보통주만은 꼭 발행해야 한다. 말 그대로 보통인 주식이며 거래가 가장 활발하고 주주총회에서 의결권 행사가 가능한 주식이기도 하지만 우선주에 비해 우선순위가 밀리고 배당순위에서 밀리는 등, 불이익이 조금 존재한다.(보통주 외에 다른 주식이 없다면 최우선순위이다) 흔히 어떤 회사의 주식이라고 칭한다면 보통주를 말하는 것이다. 우선주 우선주는 보통주에 비해서 특정한 우선권을 부여한 주식을 말한다. 주식시장에서 회사명+"우"라고 표기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우선주는 주주총회에서 의결권이 없고 배당에 대해서 약간의 이익(추가 배당)을 더 준다. 다만,.. 2023. 1. 1. 기업과 주가의 상관관계와 주가는 누가 결정할까요? 기업과 주가의 상관관계는 무엇일까? 주식이 발행되고 나면 회사의 자본금은 변하지 않기 때문에, 다시 생각해보면 결국 주가가 오르든 내리든 기업과는 직접적인 상관이 없다는 걸 알 수 있다. 과거의 주식은 안정적으로 성장하거나 돈을 버는 기업일수록 배당이 잘되므로 주식을 가지고 싶은 사람들이 많아진다는 논리로 주가가 올랐다지만, 현대의 주식은 배당의 중요성이 크게 떨어졌으며, 아마존닷컴 같은 거대기업은 엄청난 이익을 벌어도 배당할 바에야 다른 투자를 하겠다고 배당하지 않는다. 그럼 현대에 와서 기업의 성공은 주가와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 것일까? 주가 상승이 회사에게 주는 이득은 회사의 시가총액이 높을수록 회사의 가격이 올라가서 회사를 사고파는 인수합병(M&A)에서 크게 유리 해진다. 한마디로 주식은 회사라는.. 2022. 12. 22. 펀드의 장,단점에 대해서 펀드의 장점 1. 자본 시장이 외국인에게 완전히 개방되지 않은 국가들 중에는 펀드를 통하지 않으면 아예 투자 자체가 불가능한 곳들도 많다. 2. 중소형주 펀드를 들면 적은 돈으로 여러 성장성 높은 중소형주에 분산투자가 가능해 안전한 편이다. 3. 펀드라는 상품은 특성상 구입하기만 하면 펀드매니저가 전략대로 대신 돈을 굴려주다 보니 내가 직접 펀드를 알아보는 시간외에는 시간이 많이 들지 않고 전문가가 제2의 수익을 만들어주는 것이 장점이다. 4. 다른 상품보다 자동화하기가 쉽다. 특정한 날자에 자동 매수를 걸어 놓으면 매수금만큼 자동으로 구입한다 5. 초보가 접근하기에 쉽게 난이도 자체도 낮은 편이고 주식의 상황을 많이 모르더라도 상관이 없다. 왜냐면 이미 분산투자를 기본으로 하기 때문이다. 6. 세제혜택.. 2022. 9. 28. 펀드(Fund)란 무엇일까 펀드(Fund) = 기금 다수의 투자자로부터 모금한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에 대한 투자를 위해 고객들로부터 돈을 모아서 구성하는 일정 금액의 실적 배당형 투자 기금이며 자금 운용 단위를 가리킨다. 대한민국에서는 펀드 상품 자체까지 펀드라 부르며 은행, 증권사 등에서 가입 가능하다. 주식형과 채권형이 가장 기본적인 형태고, 상품의 편입 비율에 따라 무궁무진하게 분류를 만들 수 있으며 예금이 아닌 투자 상품인 관계로 일정액의 수수료를 떼는데 0.6~4%까지 뗀다. 매입 시에 수수료를 떼는지 아닌지에 따라서도 종류가 나누어지는데 수수료를 뗀다면 수수료 선취, 떼지 않는 다면 수수료 미징구라고 하며 일반적으로 수수료 미징구형이 총보수비용 비율(TER)이 높다. 주식, 채권 같은 기존 금융 상품이 아닌 부동산.. 2022. 8. 29.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