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이란?
채권은 중앙 정부, 지방 정부, 공기업, 금융기관, 법인 회사들이 정책이나 사업을
시행하기 위한 자산을 조성하기 위해 돈을 빌려서 정해진 기한 후 돌려주겠다는
채무증서를 증권화한 것이다.
쉽게 말해 사고파는 빚문서라 할 수 있는데 일반적인 대출과 달리 자금을
공급받는 기관들이 기업이나 국가같이 일반적인 사람 간 거래보다 신용도가 높다는 것에
착안하여 빚문서를 거래 가능한 유가증권 형태로 만들어 불특정 다수로부터
돈을 빌릴 수 있게 하는 제도다.
즉, 기관에서 채권을 발급하면 불특정 다수에게 돈을 빌릴 수 있게 되고,
돈을 빌려준 사람 입장에선 빚문서를 사고팔 수 있게 된다.
결국 채권도 신용도, 만기 기한 등 여러 조건에 따라 나름의 방식에 따른 실물
경제가치를 지니게 되어 채권을 발행하는 1차 시장에 더해 채권을 거래하고
유통하는 2차 시장을 형성하게 되었고 일단 거래시장이 존재하는 이상
수요와 공급의 원리가 적용되었고 현대에 와서는 가계나 기업, 정부 등 각 경제적
주체가 자산관리를 위해 가능한 선택 중 하나가 되었다.
의외로 주식이랑 채권을 구별하지 못하고 같은 거라고 아는 분들이 제법 있다.
둘 다 유가증권의 일종이라는 점 외에는 전혀 다르다.
주식은 자기 자본으로 주인이 되는 권리이고,
부채에 대한 권한이 있다는 걸 증명하는 증명서가 채권이다.
채권을 가진 자가 채권자며 채권을 거래하는 시장은 부채시장이다.
그러므로 채권은 타인자본으로 빌려준 돈을 돌려받을 권리이며
남한테 돈 빌린 것을 갚는 게 자기 돈을 챙기는 것보다
중요하기 때문에 채권을 주식보다 우선순위로 청구한다.
주식은 사면 "나도 약간은 이 회사의 주인이다"라는 권리는 갖게 되는 거고
채권은 사면 "나 이 회사에 돈 빌려줬으니까 언제까지 돈 내놔"라고
말할 권리를 가지는 것이다.
그래서 주식을 보유함으로써 발생하는 수익은 주식을 발행한 회사가 돈을 벌면
그 회사의 주인으로서 보유한 주식 지분만큼 나눠 받느라고 발생하고,
채권을 보유하는 것은 사측에서 빌린 돈의 이자로서 돌려받은 것이다.
그 때문에 보통 기업들은 주가가 제멋대로 움직이거나 원치 않는 외부인이
주주 자격을 갖는 것을 막기 위해서, 웬만하면 채권을 발행하고
이를 투자자들에게 파는 것이다.
실제 거래 규모로만 본다면 채권이 주식보다 훨씬 크지만
채권은 주식과 달리 장외시장이 장내시장보다
더 큰 비중을 차지하고 채권의 개념이 회삿돈을 끌어 쓰는 건데
한 번에 몇백억, 몇 천억 하는 큰돈을 빌리지
개인의 규모로는 빌려봐야 인건비도 안 나온다.
거기다가 주식은 여러모로 사람들에게 근접해 있지만 채권은 존재감이 낮은 편이다.
그래도 투자를 하다 보면 알게 모르게 가지고 있는 존재가 채권이다.
각종 금융 상품들, 펀드, 연금 등에 일반적으로 운용 자금의 과반 이상이
채권에 투자되어 있기 때문이다.
채권은 디폴트의 위험성은 존재하긴 하지만 안정적으로 수익을 가져다주므로
안정자산으로 분류되며,
보통 주식이 오르면 채권이 내리고 채권이 오르면 주식이 오르는 상관관계가 있다.
주식에 비해 잘 모르는 채권에 대해 글을 적어봤습니다.
알게 모르게 속해있는 채권!
투자를 하기 위해선 모르는 것보단 알고 있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다음번엔 채권의 구조에 대해 더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채권의 구조에 대하여 (0) | 2022.09.02 |
---|---|
채권의 용어 (0) | 2022.09.01 |
코스닥(KOSDAQ)에 대해서 (1) | 2022.08.24 |
우회상장, SPAC제도에 대하여 (0) | 2022.08.23 |
차트용어와 주식은어 (0) | 2022.08.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