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aa2

채권의 수익 구조를 알아보겠습니다. 채권의 수익 채권은 발행 시점에 매수할 경우 만기까지 이익이 정해진 확정금리형 자산이다.(변동금리 제외) 하지만 고정금리일 경우라도 대외 환경의 변화로 채권의 가격이 변동될 수 있다. 만약 10년 동안 5%를 주는 AA등급의 회사채가 있다면 이 회사가 망하지 않는 한 발행 시점에 산 투자자는 만기까지 5%의 이 표를 수취할 수 있는데 1년 뒤 시장 환경이 다음과 같이 변한 경우 1. 9년간 AA 적용 시장금리가 2%로 하락할 경우 2. 9년간 AA 적용 시장금리가 7%로 상승할 경우 3. AA 신용위험이 A로 하락할 경우 4. AA 신용등급이 AAA로 상승했을 경우 1. 의 경우 동등한 위험으로 2% 수취하는 것에 대비 5% 수취하는 것은 큰 이익이다. 이 경우 채권 가격은 상승하게 되는데 채권의 금리 .. 2022. 9. 4.
채권의 용어 채권 용어 채권에 쓰이는 다양한 용어들을 살펴보겠습니다. 1. 발행이율(표면금리, 표시 이자율) 채권을 발행할 때 증서에 표시되어 있는 이자율. 액면가 만 원에 표시 이자율 연 5%라면 해마다 500원을 받게 된다. 채권금리가 변하는 것과 상관없이 표시 이자율은 발행 시에 정해진 것이 계속 고정이라 발행 시의 경제상황에 영향을 받는다. 2. 현재가 채권의 액면가는 대부분 만 원이지만 시장에서 매매되는 가격은 현재가라 부른다. 대부분의 채권은 발행되자마자 시장에서 현재가 만 원 미만으로 거래되는데 이는 금리의 영향을 받기 때문인데 금리가 오르면 채권의 현재가는 더 떨어지고 금리가 떨어지면 오른다. 3. 만기가 채권을 어느 가격에 샀든 만기에는 만 원을 준다. 4. 신용등급 한국 신용평가(KIS)에서 신용등.. 2022. 9. 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