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경제13

S&P 500지수에 대하여 S&P 500미국의 신용평가회사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에서 개발한 미국의 주가지수이다.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나스닥 종합지수와 더불어 미국 증시의 대표 주가지수로 불리고 있고 미국 내 증권거래소 상장 기업 시가총액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약 500곳의 대기업이 포함되어 실질적인 간판 지수로 취급된다.그 외에도 S&P 400은 중형주, S&P 600은 소형주를 모은 지수이며이 기업들을 전부 모은 지수로는 S&P Composite 1500이 있다.특징뉴욕증권거래소(NYSE), 나스닥, 시카고옵션거래소(CBOE)에 상장된 주식 중 미국 500대 대기업의 시가총액 기준 주가지수이다.즉, 기준 시점의 시가 총액에 비해 늘어난 현재의 시가총액을 나타낸 지수다.1957년 3월 4일부터 발표되기 시작했고, 당시에.. 2025. 4. 30.
감자(Reduction of Capital)에 대해서 감자(Reduction of Capital) 경제, 회계 용어로 '자' 본 '감 '소를 줄인 말이다. 이와 반대되는 개념은 '자' 본 '증' 가를 뜻하는 증자이다. 주식회사나 유한회사가 여러 가지 사유로 인해서 자본 총액을 줄이는 것을 뜻하는 말이다. 감자가 이루어지는 일반적인 사유로는 회사 정리, 분할, 합병이나 사업 보전 등의 목적이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과대 자본을 시정하기 위한 목적이 있거나, 한계 상황에 이른 회사가 결손을 보전하기 위해서 이루어지는 게 보통이다. 주식시장에서는 이익잉여금 계정의 결손금 등이 지나치게 커져서 자본잠심의 위기에 빠지게 되었을 때 (무상) 감자를 통해서 상장폐지 위기를 벗어나려고 하는 경우가 거의 대부분이다. 감자는 주주의 이해가 첨예하게 걸린 사항이기에 대한민.. 2022. 12. 30.
닷컴 버블(Dot-com bubble)을 알아보겠습니다. 닷컴 버블(Dot-com bubble) = IT버블 세계 여러 국가에서 1995년과 2000년 사이에 발생한 광적인 투기, 투매 현상이다. 이 사건으로 인해 나스닥 종합주가지수는 2000년 3월부터 2002년 10월까지 943일간 고점 대비 78% 정도 하락하며 나스닥 역사상 가장 큰 하락폭을 기록하게 되었다. 닷컴 버블(Dot-com bubble)은 미국식 표현이고 한국에서는 IT버블이라는 단어로 많이 표현한다. 인터넷의 폭발적인 성장으로 벤처기업이 각광받으면서 주식시장 위주로 진행되었다. 다신 꺼지지 않을 것 같이 활황기를 상징하던 말이기도 했으나 버블이 꺼지면서 큰 하락이 나오게 됐다. 특히 후유증이 심했던 국가들은 미국, 한국, 독일 국가들이었다. 그나마 미국 나스닥과 한국 코스닥은 어떻게든 소생.. 2022. 11. 18.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Subprime Mortgage Crisis)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Subprime Mortgage Crisis) 2001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CDO 시장의 확대와 그에 따른 서브프라임 주택담보대출의 확대와 미국 부동산 버블로부터 시작된 2007년 발생한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 미국 최대, 최악의 금융 위기다. 테러와의 전쟁을 발생시킨 9.11 테러와 함께 21세기 인류 역사의 흐름을 결정한 사건이다. 경제적으로는 대침체, 양극화와 현재까지 계속되고 있는 2010년대의 모든 경제 위기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고 정치적으로는 이 사건 하나만으로 팍스 아메리카나의 종말을 알리고 신냉전의 도화선이 되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또한 극단주의 정치 세력이 대공황 시대인 1930년대 이후로 다시 세계적으로 기를 펴기 시작하는 등 2010~2020년대 사회.. 2022. 11. 1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