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P5003 S&P 500지수에 대하여 S&P 500미국의 신용평가회사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에서 개발한 미국의 주가지수이다.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나스닥 종합지수와 더불어 미국 증시의 대표 주가지수로 불리고 있고 미국 내 증권거래소 상장 기업 시가총액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약 500곳의 대기업이 포함되어 실질적인 간판 지수로 취급된다.그 외에도 S&P 400은 중형주, S&P 600은 소형주를 모은 지수이며이 기업들을 전부 모은 지수로는 S&P Composite 1500이 있다.특징뉴욕증권거래소(NYSE), 나스닥, 시카고옵션거래소(CBOE)에 상장된 주식 중 미국 500대 대기업의 시가총액 기준 주가지수이다.즉, 기준 시점의 시가 총액에 비해 늘어난 현재의 시가총액을 나타낸 지수다.1957년 3월 4일부터 발표되기 시작했고, 당시에.. 2025. 4. 30. 인덱스 펀드(Index Fund)란? 주식에 투자하는 가장 종은 방법은 곧 인덱스 펀드에 투자하는 것이다. 인덱스 펀드는 그야말로 투자자에게 유리한 저가 상품이다 -워런 버핏- 인덱스 펀드(Index Fund) 인덱스 펀드는 해당 지수를 구성하는 주식을 지수에서 차지하는 비율대로 매입하여 지수를 복제하는 방식으로 운용한다. 그래서 시장 평균 수익률과 동일한 수익률을 올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해당 지수의 흐름에 몸을 맡기는 방식으로 운용하기 때문에 인덱스 펀드를 패시브 펀드의 대표적인 형태라고 말한다. 개별 주식의 가격이 오를지 내릴지 맞추기는 것도 골치 아프고 매매하다 보면 수수료 비용만 많이 발생하여 펀드 수익률이 낮아지므로 차라리 최소한의 운용수수료로 시장의 평균 수익률을 추구하면서 펀드 수익률을 높이는 펀드야 말로 최선의 펀드 상품이라.. 2022. 8. 27. ETF(상장 지수 펀드)란? 상장 지수 펀드(Exchange Traded Fund = ETF) 상장 개방형 펀드로 주로 주가 지수나 채권가 지수 등 특정 지수를 추종하여 거래소에 상장되어 거래되는 펀드다. 쉽게 말하자면 인덱스펀드를 거래소에 상장시켜 투자자들이 주식처럼 편리하게 거래할 수 있도록 만든 상품이다. 인덱스 펀드가 보통 펀드처럼 자산운용사 혹은 은행 등을 통해서만 매매하는 방식의 펀드라면 ETF는 말 그대로 증권거래소에서 매매가 가능한 펀드다. 1989년 미국에서 S&P 500 지수를 추종하는 IPS(Index Participation Share)라는 상품이 최초의 ETF 형태의 상품이라 할 수 있다. 여러 가능성을 보이자 1993년 1월 아메리카 증권거래소의 상품개발팀장인 네이선 모스트가 S&P 500 지수를 추종하는 .. 2022. 8. 26.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