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파생상품4

코넥스 시장(KONEX Market) 코넥스 시장(KONEX Market) 2013년 7월 1일에 출범한 대한민국 주식시장 중 하나로 제3 시장에 해당된다. 한국거래소에서 운영하며 코스닥 시장에 상장할 요건이 안 되는 중소기업들을 지원하여 성장을 시켜 주기 위한 주식시장으로 코넥스 시장이 출범하면서 원래 제3 시장이라 불리던 K-OTC는 제4 시장으로 밀려나게 된다. 코스피, 코스닥과는 달리 별도의 주가지수를 발표하지 않으며 내부적으로 지수 산출을 하고 있지만 시장 규모가 작고 인지도도 낮으며 거래량도 매우 적어서 하루에 100주 미만의 거래가 있는 종목도 많고 매년 10%가량의 기업들이 코스닥으로 빠져나가기 때문에 지수가 실제 시장상황을 반영한다고 보기도 어렵고 파생상품을 만들기도 힘들기에 공개하지 않는다. 코넥스 시장은 우수한 기술력을 .. 2023. 1. 8.
공매도(Short Selling)에 대해서 공매도(Short Selling) 공매도는 줄여서 숏(Short)이라고도 부르며 재화를 미리 빌려서 매도하여 현재 가격만큼의 돈을 받고 나중에 빌린 재화만큼 같은 수량의 재화를 상환하여 결제를 완료해서 중간 차익을 남기는 투자기법을 말한다. 쉽게 말하자면 내가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가격이 더 떨어질 거 같다고 판단되면 거래를 체결하는 것이다. 그렇게 체결된 가격에서 하락하면 이득을 보는 것이고 반대로 상승하면 손해를 보게 되는 것이다. 말 그대로 '없는 것을 판다(공매)'는 의미이다. 내가 소유하지도 않은 재화의 소유권을 남에게 넘겼으니 결제를 완료하기 전까지는 내가 산 재화를 음수만큼 보유한다고 보면 된다. 나중에 음수를 채워야 되는데 내가 체결한 가격에서 떨어지면 떨어질수록 이득을 볼 수 있는 것이.. 2023. 1. 3.
펀드의 장,단점에 대해서 펀드의 장점 1. 자본 시장이 외국인에게 완전히 개방되지 않은 국가들 중에는 펀드를 통하지 않으면 아예 투자 자체가 불가능한 곳들도 많다. 2. 중소형주 펀드를 들면 적은 돈으로 여러 성장성 높은 중소형주에 분산투자가 가능해 안전한 편이다. 3. 펀드라는 상품은 특성상 구입하기만 하면 펀드매니저가 전략대로 대신 돈을 굴려주다 보니 내가 직접 펀드를 알아보는 시간외에는 시간이 많이 들지 않고 전문가가 제2의 수익을 만들어주는 것이 장점이다. 4. 다른 상품보다 자동화하기가 쉽다. 특정한 날자에 자동 매수를 걸어 놓으면 매수금만큼 자동으로 구입한다 5. 초보가 접근하기에 쉽게 난이도 자체도 낮은 편이고 주식의 상황을 많이 모르더라도 상관이 없다. 왜냐면 이미 분산투자를 기본으로 하기 때문이다. 6. 세제혜택.. 2022. 9. 28.
펀드(Fund)란 무엇일까 펀드(Fund) = 기금 다수의 투자자로부터 모금한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에 대한 투자를 위해 고객들로부터 돈을 모아서 구성하는 일정 금액의 실적 배당형 투자 기금이며 자금 운용 단위를 가리킨다. 대한민국에서는 펀드 상품 자체까지 펀드라 부르며 은행, 증권사 등에서 가입 가능하다. 주식형과 채권형이 가장 기본적인 형태고, 상품의 편입 비율에 따라 무궁무진하게 분류를 만들 수 있으며 예금이 아닌 투자 상품인 관계로 일정액의 수수료를 떼는데 0.6~4%까지 뗀다. 매입 시에 수수료를 떼는지 아닌지에 따라서도 종류가 나누어지는데 수수료를 뗀다면 수수료 선취, 떼지 않는 다면 수수료 미징구라고 하며 일반적으로 수수료 미징구형이 총보수비용 비율(TER)이 높다. 주식, 채권 같은 기존 금융 상품이 아닌 부동산.. 2022. 8. 2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