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덱스 펀드(Index Fund)의 구조
인덱스 펀드의 구성 종목은 시가총액 비중대로 펀드 포트폴리오가 채워져 있다.
따라서 어느 정도 실력이 되는 사람이라면 인덱스 펀드를 가입하지 않고 자기가
직접 포트폴리오를 짜서 인덱스 펀드처럼 추종하게 할 수도 있는데, 이를 완전복제 법이라 한다.
인덱스 펀드로 시장 수익률을 넘기 위해 상위 종목 중 펀더멘탈이 약한 종목은
제외하는 경우가 많고 코스피 지수 등락은 KOSPI 200 지수 등락과 거의 일치 하기에
코스피 인덱스 펀드는 코스피 200 지수를 추종하고 코스닥 역시 KOSDAQ 150이
코스닥 지수와 상관성이 있으므로 코스닥 150으로 각정 펀드와 상품을 통일했다.
레버리지 인덱스 펀드
추종 지수를 100% 따라가는 일반 인덱스 펀드 외 파생상품과 결합하여
추가 수익을 노리는 상품.
예를 들어 코스피 200의 2배 레버리지 인덱스 펀드라면
코스피 등락폭의 2배로 수익률이 나온다.
오르나 내리나 2배로 움직인다.
인버스 인덱스 펀드
또 다른 파생 상품으로 추종 지수 수익률에 기호가 반대로 붙어 움직이는 상품.
즉, 추종 지수가 오르면 손실을 보고 내려가면 수익을 보는 구조의 상품이다.
주가지수의 하락이 예상될 때 투자하는 상품이다.
장점
1. 손해를 보게 돼도 추종 주가지수의 하락률만큼만 본다.
2. 수수료가 매우 저렴하다.
미국 뮤추얼 펀드 평균 수수료 비율이 1.5%인데 S&P 500 인덱스 펀드는
0.19%에 불과하며 한국도 마찬가지이다.
이런 수수료 차이는 장기적으로 상당한 수익률 차이로 이어지게 된다.
실증적으로도 액티브 펀드들이 장기적으로 시장 평균 수익률을
따라가지 못한다는 연구 결과들이 있다.
3. 상승장에서 주식의 상승을 주도하는 주식들의 상승률이 수십 배 오를 동안
대부분 회사들은 시장보다 수익률이 낮다.
즉, 특정 회사를 매수하면 상승장에서 소외될 확률이 높지만
인덱스 펀드를 매수하면 상승장에서 절대 소외당할 일이 없다.
4. 진입 장벽이 낮기 때문에 어느 정도 금융 지식이 있는 사람이라면 직접
취향대로 유망한 종목만을 뽑아 포트폴리오를 만들 수 있다.
단점(인덱스 펀드만의 단점은 아니다.)
1. 시장 수익률을 능하기가 어렵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레버리지 펀드들이 나왔지만 하락장에서
손실이 더 커지면서 장기적으로는 지수를 완벽히 추종하지 못하게 된다.
2. 환매 리스크가 크다
일단 환매 시기를 전문가가 아닌 개인이 정한 상품이 대부분이라
금융 지식이 없다면 큰 손해를 보는 경우가 많다.
3. 환매와 현금화 사이 시차 문제가 있다.
'펀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펀드의 장,단점에 대해서 (0) | 2022.09.28 |
---|---|
펀드의 종류와 자금, 투자 모집 방식 기준 (0) | 2022.08.30 |
펀드(Fund)란 무엇일까 (1) | 2022.08.29 |
인덱스 펀드(Index Fund)란? (1) | 2022.08.27 |
ETF(상장 지수 펀드)란? (0) | 2022.08.26 |
댓글